도시가스요금 인상과 난방비 대란
추운 날씨의 기세가 꺾이지 않아 적절한 난방이 필수적인 요즘 날씨인데요.
온 나라가 난방비 대란으로 떠들썩합니다. 무려 도시가스 요금이 평균 5.8% 인상된 이유 때문입니다.
사실 큰 평수가 아닌 이상 난방비 상승에 대한 체감이 크진 않은데요.
5평 원룸 기준으로 최근 3년간 도시가스 난방비가 얼마나 나왔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행복주택 난방비 3년간 추이
LH 행복주택 19형에 거주하고 있고 1인가구 원룸형이며 개별 가구에 보일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주택용 도시가스의 경우 취사, 난방에 구분 없이 동일한 요금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납기월 기준으로 전월이 실제로 난방을 사용했던 월입니다.
1. 2019년 11월 ~ 2020년 3월
최대 사용량 2020년 1월 42㎥
2. 2020년 11월 ~ 2021년 3월
최대 사용량 2021년 1월 36㎥
3. 2021년 11월 ~ 2022년 3월
최대 사용량 2022년 1월 41㎥
4. 2022년 11월 ~ 2023년 1월
최대 사용량 2022년 12월 19㎥
통계적으로 항상 1월 도시가스 요금이 가장 많이 나왔었는데요.
아직 2023년 1월 검침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정확한 1월 난방비는 2~3주 정도 지나 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2월 기준으로 작년과 재작년 2년간 비용과 올해 청구 금액을 비교하면 1,000원 정도 차이를 보이는데요.
1월 요금도 아무리 많이 나와도 3만 원까지는 안 나올 것 같습니다.
행복주택 원룸형 1인 가구 5평 기준 난방비 결론
2019년 11월부터 2020년 3월 기준 도시가스 사용량이 많았었는데요.
행복주택에서 첫겨울을 보낸 터라 보일러 사용에 미숙함이 있었던 걸로 기억을 합니다.
지금은 퇴근 후 집에 도착하면 환기를 10분 정도 해준 후 23.5도 정도로 맞춰놓고 아침에 출근하면서 19도 정도로 맞춰놓는 방식으로 보일러 사용 기준을 정했는데요.
발코니 창문은 방풍비닐로 아예 덮어놔서 냉기에 대해서 차단도 해둔 상태입니다.
이런 식으로 관리를 하다 보니 내부온도가 쉽게 떨어지지도 않고 난방이 자주 돌아가지도 않더라고요.
이전에도 보일러 사용방법과 외출모드 사용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는데요.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처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충분히 절약할 수 있는 부분은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평수에 따라, 냉기차단을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 장소별 상황에 따라 모든 부분이 달라질 수 있지만 외풍차단에 신경 쓰고 해당 장소에 따른 보일러 사용 루틴을 확실히 정하고 나면 난방비 걱정에서 조금은 해소되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겨울 보일러 외출모드 난방비 가스요금 절약 및 동파에 도움이 될까?
보일러 외출 모드는 어떤 기능일까? 보일러 기능 중 외출모드가 있습니다. 외출모드는 외출 시 보일러를 최소로 작동시켜 실내를 보온하는 기능입니다. 보일러 설명서를 참고하면 일정 시간 동
smartreport.tistory.com
겨울철 보일러 온수 온도 적정하게 맞추는 방법 (보일러 브랜드별 온수 설정 방법)
보일러 브랜드별 온수 설정 사용방법 보일러가 빛을 발하는 계절 겨울이 왔습니다. 보일러는 여름철에도 온수를 위해 사용하지만 겨울철에는 난방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요.
smartreport.tistory.com
행복주택 콘덴싱 린나이보일러 온수 및 온도 조절 사용법 (도시가스온수보일러 RC500-18KFK)
콘덴싱 보일러는 가동 시 발생하는 배기가스 열을 바로 내보내지 않고 다시 사용하여 에너지 사용을 줄여줍니다. 효율은 높이고 가스비를 줄이고 싶다면 콘덴싱 보일러를 사용하시는게 좋습니
smartreport.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무실 업무용 가성비 조립PC 추천! AMD 라이젠 3200G 구성 (0) | 2023.02.13 |
---|---|
[오스트리아 신혼여행 준비] 신한은행 쏠편한환전 90% 우대환율 가까운 영업점에서 400유로 환전 후기 (0) | 2023.01.31 |
국민관광상품권 사용처 안내 및 온라인 사용방법은? (0)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