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건 쉰내는 계절을 불문하고 발생합니다. 이유는 바로 섬유 원단 속으로 흡수된 미생물이 퍼지면서 악취를 만들어 내기 때문인데요. 수건을 깨끗이 빨래하고 햇빛에 바싹 말려도 수건 쉰내가 없어지지 않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수건 쉰내나면 버려야 하나?
여름철에 특히 심해지는 수건 쉰내는 아무리 빨고 햇빛에 오랜 시간 말려두더라도 쉽게 없어지지 않습니다. 수건뿐 아니라 내의로 입는 반팔 티셔츠나 러닝 등도 유독 조금만 입어도 땀냄새와 함께 쉰내가 발생하는 걸 다들 경험해보셨을 거예요.
수건 쉰내는 필연적으로 날 수밖에 없는데요. 바로 수건의 역할이 수분 흡수에 있기 때문입니다. 얼굴이나 몸을 닦는 세면타월부터 주방에서 손을 닦기 위해 사용하는 주방타월까지 가장 큰 목적은 몸에 닿은 물을 닦아내기 위함에 있습니다.
주방 같이 공간이 넓고 공기의 흐름이 있는 곳은 살짝 젖은 수건도 금방 마르는 반면 욕실에서 사용하는 수건의 경우 환풍기를 가동하지 않거나 문을 닫아놓은 경우는 꼼짝없이 습도에 갇혀 있게 되고 당연히 젖어 있는 수건이라면 잘 마르지 않게 됩니다.
이런 상황이 되면 수건에 남아있던 세균이 증식하여 쉰내와 함께 냄새를 유발하게 되는 건데요.
쉽사리 없어지지 않는 쉰내 나는 수건 그냥 버리는 게 답일까요?
수건 쉰내를 없애준다는 제품과 방법들
시중에 나와 있는 수건 쉰내를 없애준다는 제품들입니다.
- 구연산
- 베이킹소다
- 과탄산소다
- 식초
- 뜨거운 물에 삶아주기
- 피톤치드 (편백오일)
- 섬유유연제
- 세탁조 과탄산소다 청소
이러한 제품들이 효과가 전혀 없는 건 아니지만 피톤치드나 섬유유연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오히려 냄새를 악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문제가 되는 세균과 번식해 있는 미생물을 제거해주는 게 냄새 제거의 핵심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일까요?
락스로 확실하게 쉰내 제거
집에 하나씩은 있는 화장실 청소용 락스로 수건 쉰내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기준은 물 2L에 락스는 종이컵 3분의 1 정도 양이면 충분합니다.
물과 락스를 200:1의 비율로 희석해서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 수건과 락스 물을 충분히 넣을 수 있는 통 준비
- 물과 락스를 희석하여 준비
- 쉰내 나는 수건 입수
- 통에 담근 후 3분마다 한 번씩 저어준 후 10분 이후 꺼내기
- 세탁기에 탈수 한번 돌려서 물기 제거 후 일반적인 세탁코스로 진행
- 건조 후 냄새를 맡아보면 완벽하게 쉰내 제거됨
쉰내 제거 쉽게 할 수 있는 방법
귀찮아 죽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 계실 텐데요. 더 쉽게 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2주 정도에 한번 정도만 하셔도 수건을 냄새 없이 뽀송뽀송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생활 꿀팁입니다.
세탁기에 바로 락스를 부어 버리는 방법입니다.
- 세탁기 물높이를 최소한으로 설정
- 물이 어느 정도 차기 시작하면 락스를 적당히 넣어줍니다. 절대 많이 넣지 마세요.
- 세탁기가 세탁 모드로 넘어가서 돌아가기 시작할 때 일시정지를 해주세요.
- 쉰내 나는 수건을 넣어주세요.
- 다시 작동하도록 눌러주신 후 30초 정도 지난 후 다시 일시정지를 한 후 전원을 꺼주세요.
- 10분~15분 방치 후 세탁기 전원을 켠 후 탈수를 한번 돌려주세요.
- 일반 세탁코스로 세탁기를 돌려주신 후 건조해 주시면 쉰내 제거 완료
수건 청결하게 관리하는 방법
수건 쉰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관리방법은 바로 건조에 핵심이 있습니다.
샤워 후 또는 머리를 감고 사용한 수건은 반드시 욕실에 걸어두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공간에 두어 최대한 빠르게 건조해야 하는데요. 이렇게 세균 번식을 막음으로써 수건 쉰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하루 정도 말린 수건은 이후에 세탁바구니에 넣어서 세탁해주시면 됩니다.
세탁기 쉰내 제거 방법 주의사항
- 변색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락스 물에 수건을 넣을 때 조금 담가보고 색이 변하는지 확인하고 해 주세요.
- 세탁기에 락스를 넣는 경우 통이 스테인리스 통이 아닌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면 절대 하지 마세요. 세탁기가 고장이 날 수 있습니다.
- 락스에 수건을 담가놓는 시간은 최대 20분을 넘기지 마세요. 락스 양이 적더라도 변색되거나 수건 올이 뻣뻣해질 수 있습니다.
'셀프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우 통돌이세탁기 분해 청소 단계별 상세 후기 (셀프 비용) (0) | 2022.10.03 |
---|---|
다이소 제품으로 화장실 나방파리 퇴치 박멸 및 예방 (0) | 2022.09.23 |
오래된 변기 커버 뚜껑 셀프교체 방법 (국내 제조 중형 O형) (0) | 2022.09.06 |
댓글